GA4에서는 웹사이트 또는 앱의 사용자 수 측정항목을 이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측정항목에는 전체 사용자, 활성 사용자, 신규 사용자, 재방문 사용자가 포함됩니다. GA4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안 이러한 모든 지표를 접해 보셨을 것입니다. “총 사용자 수, 활성 사용자 수, 신규 사용자 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라고 궁금하셨다면 이번 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총 사용자 […]
GA4 이탈률. 어떤 사람들은 좋아하고, 어떤 사람들은 싫어합니다. 예전에 GA4가 출시되었을 당시에는 이탈률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시 이탈률 측정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1. GA4 이탈률 이란 무엇인가요? 이탈률은 웹사이트 방문자 중 참여도가 낮은 방문자의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탈률이 높을수록 웹사이트의 상태가 좋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2. GA4 이탈률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과거에는 이탈률이 페이지뷰나 상호작용(이벤트)이 단 한 […]
클릭 추적은 GA4 이벤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벤트 중 하나입니다. 웹사이트에는 클릭 가능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방문자가 이러한 요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먼저, GA4의 자동 클릭 추적 기능을 살펴보고, GTM의 도움을 받아 추적 이벤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GA4 클릭 추적 왜 할까요? 어떤 웹사이트에서든 가장 흔한 상호작용은 무엇일까요? 아마도 페이지뷰, 스크롤 그리고 […]
웹사이트 사용자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추적해 본 적이 있다면 User ID (사용자 ID)라는 용어를 접해 보셨을 것입니다. User ID (사용자 ID)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읽어보면 “Client ID (클라이언트 ID) ” 라는 또 다른 용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Client ID 는 무엇일까요? Cient ID는 User ID와 어떻게 다르며, 언제 어떤 용어를 사용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GA4의 […]
이번 글에서는 GA4 추천 트래픽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웹사이트가 내 웹사이트로 트래픽을 유도하는지 궁금했던 적 있으신가요? GA4는 이러한 정보를 추적할 수 있지만, 보고서에서 해당 정보를 찾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GA4에는 추천 트래픽 데이터를 보여주는 사전 정의된 보고서가 없지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번 글에서 GA4에서 추천 트래픽을 찾는 세 가지 방법과 이러한 보고서를 […]
GA4 보고서에서 트래픽 소스 측정기준에 “( data not available )” 이라는 알 수 없는 메시지가 표시된 것을 보신적 있으신가요? 이 메시지를 보면 다소 헷갈릴 수 있으며, 데이터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궁금해 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구글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GA4에서 ( data not available ) 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유에 […]
향상된 측정 설명 전에 추가 구성없이 웹사이트에 설치했을 때 Universal Analytics(GA3 라고도 함)는 페이지 조회수만 추적했습니다. 보고서에서 다른 상호작용을 보려면 추가 이벤트 추적을 구현해야 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GA4는 웹사이트의 코드를 변경하거나 GTM(Google Tag Manager:구글태그관리자)을 구성할 필요없이 추적할 수 있는 더 많은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자동 추적 기능 모음을 향상된 측정 이라고 합니다. 물론 […]
이번 글에서는 GA4 데이터 수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기치 않게 데이터에 유입될 수 있는 개인 식별 정보(PII) 수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사합니다” 페이지 URL에 방문자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는 GA4에 의해 자동으로 추적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다른 공급업체에 유출되는 것입니다. 다행히 이 문제는 GA4 데이터 수정을 통해 완화할 수 […]
GA4에서 내부 트래픽 제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A4를 구현하면 자신의 상호작용/이벤트도 추적하게 됩니다. 해당 값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기업(직원 수가 더 많음)과 협력할 때 훨씬 더 큰 문제가 됩니다. 직원의 모든 방문/이벤트는 데이터를 왜곡하게 됩니다. 고객 데이터가 아닌 직원 데이터는 제외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GA4에서는 내부 트래픽을 제외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를 […]
GA4 맞춤 채널 그룹 이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혹시, 이전 “기본 채널 그룹 정의” 포스트를 못 보신 분들은 먼저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기본 채널 그룹 정의” 바로가기 >>> GA4에 포함된 많이 사용되는 측정기준은 기본 채널 그룹 입니다. 구글에서 결정한 사전 정의된 규칙을 사용하여 트래픽 소스를 채널 그룹이라는 그룹으로 분류하므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액세스하는 […]